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슈/경제

전·월세 계약 전 단계 별 도움 받을 수 있는 앱 소개

전세사기 피해와 관련된 소식은 계속해서 나오고 있는데요. 이사가 잦은 1인 가구에게 전월세 계약은 피할 수 없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이럴 때 누구나 신뢰도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실시간 도움 받을 수 있는 앱을 소개합니다.

 

전세사기-전월세계약-1인가구-부동산앱-전세사기예방
전세사기 예방

 

자취 초보일 경우

독립을 이제 막 시작한 단계로 전월세 계약 전 어떤 것을 확인해야 하는지 아직 익숙하지 않은 단계라면 마이홈 앱의 도움을 받아보면 좋습니다. 마이홈 앱은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주거복지포털로 전세사기 걱정이 덜 한 전국 공공임대주택 모집공고부터 전월세 관련 거래 매뉴얼 정보까지 정리되어 있습니다.

 

 

전월세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얻고 싶을 땐 ‘부동산 상식 메뉴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계약 전, 계약 시, 계약 후로 나눠 각 절차 별로 확인해야 하는 부분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현재 내 상황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주거복지도 한눈에 확인 가능합니다. 현재 주거형태, 가구 소득 등의 기본 정보만 입력하면 됩니다.

 

주변 시세 확인해야 할 경우

전세사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주변 부동산의 매매가와 전세가, 시세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매매가와 전세가가 차이가 없는 매물이라면 계약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럴 때 직접 주변 시세를 바로 확인해볼 수 있는 앱이 있는데요. 부동산 테크(REB)’는 한국부동산원에서 운영하는 포털로 부동산 거래 시세가 가장 빠르게 반영되는 것은 물론 주택 토지사무실 등의 각종 실거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세사기-전월세계약-부동산거래-전세사기예방
주변 부동산 시세 확인

 

또 관심 있는 단지를 최대 3개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관심 단지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실거래가와 주변 편의시설, 교통시설까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계약하고 싶은 집을 찾은 경우

계약하고 싶은 집을 찾은 단계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요. 바로 등기부등본’입니. ‘인터넷등기소앱을 이용하면 그 자리에서 바로 계약하려는 집 등기부등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세계약-월세계약-부동산-등기부등본-인터넷등기소-안심전세
계약 전 등기부등본 확인

 

주인 신상정보 몰라도 집주소만 알고 있다면 확인 가능합니다. 등기부등본확인 이용료는 700원입니다. 또 ‘인터넷등기소’ 앱을 통해서도 전세 계약 전 확인해야 하는 각종 점검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심 전세 앱 2.0 서비스

‘안심전세 앱’ 은 올해 2월 출시된 서비스로 전세사기 예방 대책의 일환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가장 크게 바뀐 부분은 시세제공 주택 범위 확대(전국 1252만호), 집주인 동의하에 집주인 국세·지방세 체납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기존1.0 버전에서는 계약 당일 집주인과 세입자가 대면한 상태에서, 집주인이 본인 명의 핸드폰으로 안심전세앱에 접속해 인증 결과를 보여줘야 했는데요. 2.0 버전은 집주인과 세입자의 대면 절차를 생략했습니다. 임차인이 카카오톡으로 집주인에게 정보 공개를 요청하는 푸시를 보내면, 집주인이 본인인증을 거쳐 확인코드를 보내줄 수 있게 변경되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