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정보

2022년 사이버 보안 5가지 위협 전망

 

 

2022년 사이버 보안 5가지 위협 전망 소개 

 

 

▶안랩이 2022년 사이버보안 5가지 위협 전망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it기술이 일반화됨에 따라 보안 위협 또한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생활에서도 보안 수칙을 잘 지키고 늘 주의해야겠습니다.

오늘은 2022년 사이버 보안 위협 전망 5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랜섬웨어 조직 운영 및 공격 고도화

■ 첨단 기술 노린 국가 지원 조직의 공격

■ 정치/사회적 이벤트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 전개

 생활 속에 스며드는 IoT 환경을 노린 해킹 본격

■ 새로운 공격 포인트 발굴 확대 등입니다.

 

 

 

 보안 수칙의 강화

 

- 다양한 부문에서 디지털 전환이 진행 중인 가운데 공격자들은 급변하는 IT 환경과 이슈를 공격에 악용할 것입니다. 특히 IT 기술이 생활의 일부가 됨에 따라 새로운 공격 대상이 등장하고 그 방식도 고도화하고 있어, 개인과 조직 모두 나의 일상을 지킨다는 마음으로 생활 속 보안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상시 주의 요망

 

 

 - 2022년에는 베이징 동계 올림픽(2)과 카타르 월드컵(11) 등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와 대통령 선거 등 정치적 이벤트가 많습니다. 이러한 사회 주요 이슈는 전통적으로 공격자들이 사이버 공격에 자주 활용하는 소재입니다.

 

- 올해도 공격자들은 주요 이벤트를 위장해 스피어 피싱 이메일이나 랜섬웨어 유포 시도,, 스미싱 등 사회공학적 공격을 전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외에도 대형 이벤트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노려 사회적 혼란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이버 공격 그룹의 공격 가능성도 존재하는 만큼, 수상한 이메일 첨부파일이나 문자 속 URL을 실행하지 않는 등 상시적인 주의가 필요합니다.

 

 

 

 

5대사이버보안-위협-전망
안랩/제공

 

 

 

 IOT 환경 노린 공격 본격화

 

 

- 지난 2년간 원격근무가 보편화됨에 따라 홈 오피스족을 노린 공격이 발생했다면, 2022년에는 우리 생활 속에 스며든 IoT 환경을 노린 공격도 본격화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최근 5G 기반의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의 보급으로 월패드, 스마트 스피커, 홈카메라 등과 같은 네트워크 연결 지점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 최근 발생한 월패드 영상 유출 사례처럼, 2022년에 공격자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IoT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노려 정보 탈취 및 원격제어 등의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개인 사용자는 사용자의 최초 설정 변경 등을 위해 IoT 기기 제조업체가 임시로 설정해 놓은 비밀번호를 공격자가 유추하기 어려운 비밀번호로 변경하는 등 기본 보안 수칙을  반드시 실천해야 합니다. 또한 기관 및 기업은 변화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보안 정책 수립과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첨단 기술을 노리는 해킹

 

 

- 2021년 한해 주요 국가 연구 기관을 대상으로 한 해킹 시도가 이어진 가운데, 다가오는 2022년에도 첨단 기술을 노리는 국가 지원 공격 조직의 사이버 공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국가의 안보를 위한 방위 산업뿐 아니라 사회 기반 시설이나 스마트 공장 등 OT(Operation Technology) 환경, 기계·자동차·바이오 등 기술집약적 산업 분야를 노린 사이버 공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바이오 분야나,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로 주목을 받은 우주항공 산업 분야는 사이버 공격 조직의 타깃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랜섬웨어 공격 양상의 다변화

 

 

- 2021년 랜섬웨어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각국의 국제 공조 수사 등을 펼쳐 소기의 성과를 이뤘지만, 랜섬웨어 공격조직은 이를 피하고자 조직운영과 공격 방식 면에서 더욱 고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먼저 공격자들은 조직 가입 조건을 강화하는 등 폐쇄적인 운영 방식을 이어가는 동시에, 사법기관 등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점조직화를 가속화 할 것으로 보입니다.

- 또한 랜섬웨어 공격 양상이 다변화되고 있으며 공격 조직은 무차별적인 랜섬웨어 유포로 몸값을 받아내는 고전적 전략을 벗어나, 가치 있는 정보를 보유한 기업을 타깃해 주요 정보를 탈취하고 금전도 노리는 방식을 취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양상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서 기업/기관에서는 위협 인텔리전스 서비스 등을 바탕으로 최신 랜섬웨어 공격 양상을 파악하고 이에 맞춘 대응 방안을 준비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보안 패치 최신으로 유지 강화

 

 

- 최근 확인된 로그4j’ 취약점의 사례처럼 일반 사용자에겐 생소하나 거의 모든 영역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취약점 발견 시도와 이를 악용한 공격 시도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기존에는 일부 사용자들만 관심을 가지던 암호화폐와 NFT(대체불가능토큰)가 대중의 관심을 받음에 따라, 주된 공격 대상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됩니.

- 특히 PC에 저장된 암호화폐 지갑 주소 등을 수집, 유출하거나 아예 공격자가 설정한 별도의 지갑 주소로 암호화폐를 전송하는 기존 악성코드 기능을 악용해 NFT거래에서 금전적 피해를 유발하려는 시도도 등장하게 될 것입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메일의 URL과 첨부파일을 함부로 실행하지 말고,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보안 패치를 최신으로 유지하는 등 기본 보안 수칙의 생활화가 필수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