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슈

주택담보대출 금리 무서운 상승세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예고하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무섭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연초부터 물가상승과 통화 긴축에 대한 예상 등으로 시장금리가 빠르게 오르면서 은행 대출 금리도 함께 상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필자의 통장에도 전 달보다 오른 대출 금리를 보면 실감을 할 수 있습니다. 내려가는 건 오직 월급뿐이라는 말이 가슴에 와닿는 요즘입니다. 과연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언제까지 오를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대출금리-주택담보대출-상승세
대출금리

 

연내 7% 추가 상승세

 

뉴스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10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3.5805.230% 수준입니다. 

작년 말(3.7105.070%)과 비교해 올해 들어 40여일 새 상단이 0.160% 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코픽스 상승(COFIX)

 

▶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가 따르는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대출에 쓰일 자금을 조달하는데 얼마나 비용(금리)을 들였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신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 지수)와(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연동되는 주담대 변동금리도 상승했습니다.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리자 시중은행들도 일제히 예금금리를 0.3% 포인트 안팎 올렸습니다. 따라서 1월 기준 코픽스는 12월 기준(1.69%)보다 높아져 1.70%를 넘어서고, 이달 중순부터 은행들은 이를 반영해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를 더 올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당장 15일 발표되는 1월 기준 코픽스 금리도 상승할 것이 유력하다고 합니다. 지난달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은행들도 예·적금 금리를 올리면서 대출 조달비용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되는데,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비중을 따지면 예·적금이 70∼80%에 이릅니다.

 

주택담보대출-금리-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금리

 

 

■ 신용대출

- 신용대출의 경우 현재 3.4694.720% 금리(1등급·1)가 적용됩니다. 지난해 12월 말(3.5004.720%)보다 하단이 오히려 0.031%0.031% 포인트 떨어졌고, 상단에는 변화가 없었습니다.

 

 

기준 금리 인상 추가 가능성

 

▶한은의 기준금리도 올해 연말까지 최소 0.5% 포인트 이상 더 인상돼 대출금리를 끌어올릴 것으로 우려됩니다.

▶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와 JP모건은 올해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2차례 추가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예상대로라면 현재 1.25%인 기준금리가 연말 1.75%에 이르는 셈입니다.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긴축을 서둘러 올해 기준금리를 최대 5차례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까지 나오는 만큼, 한은의 올해 추가 인상 횟수도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마무리

 

대출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폭만큼만 오른다고 가정해도, 앞으로 기준금리가 두 차례 오르면 0.5%포인트, 세 차례 인상되면 0.75% 포인트 더 높아집니다.

결국 현재 최고 5%대 후반인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말께 6%대 중반이나 7%에 가까운 6%대 후반까지 오를 수 있다고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