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

감정 쓰레기통이 되지 않기 위한 방법과 감정 쓰레기 취급하는 5가지 유형

 

감정 쓰레기통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어느 한쪽이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일방적으로 쏟아내는 행위를 말합니다. 감정 쓰레기통은 의외로 우리 주변에 흔하게 존재합니다.

 

특히 가족이나 친한 사람들 간에 감정 쓰레기통이 된 경우가 많은데요. 본인이 감정 쓰레기통이 된 줄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오늘은 감정 쓰레기통이 무엇이며 감정 쓰레기통 취급하는 사람 유형 5가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감정쓰레기통-부정적감정-소통부재-일방통행식-대화법
감정쓰레기통이 되지 않기 위한 방법

 

감정 쓰레기통이란

상대방과 감정을 교류하지 않은 채 오직 자신의 감정만 털어놓으며 상대방을 '도구'로 여기는 것을 말합니다. 연인이나 친구, 가족 관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일인데요.

 

한쪽이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일방적으로 토로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을 위한 고민상담이 아닙니다. 휴지를 쓰레기통에 버리듯, 감정을 쏟아내는 행위를 말합니다.

 

◎ 일방통행 방식 소통

간혹 친구나 동료, 심지어는 연인 사이에서도 상대방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고 자기 할 말만 해서 서운한 감정을 느끼게 만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소통한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아 함께 있는데도 외로워지고, 끊임없이 부정적인 말을 해서 어느새 나의 삶마저 피폐하게 만듭니다.

 

감정쓰레기통-일방적대화
감정쓰레기통

 

감정 쓰레기통 취급하는 유형 특징

1. 본인이 힘들 때만 연락한다

상대방을 '감정 쓰레기통'으로 여기는 이들은 평소에는 일상적인 연락을 잘하지 않습니다.

 

자신이 학교나 직장에서 심지어는 연인과의 사이에 문제가 생기거나 가정의 불화가 생기는 등 힘든 경우에 뜬금없이 연락을 해 옵니다. 이들은 안부와 근황을 묻지도 않고 자신이 요즘 얼마나 힘든 상황인지 구구절절 설명해 사람을 피곤하게 만드는 경우입니다.

2. 무조건적인 공감을 바란다

이들은 자신의 얘기를 들어줄 사람이 필요해 공감해주지 않으면 몹시 서운해합니다. 자신이 얼마나 억울했고 힘들었는지 이해해 주기를 바라며 때로는 자기가 잘못한 상황에서도 무조건적으로 자기편을 들어주기를 바랍니다.

 

어쩌다 상대방이 자신의 잘못을 지적하면 오히려 불같이 화를 내며 연락을 끊어 버리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감정쓰레기통-무조건공감-분노-일방통행-스트레스
감정쓰레기 취급

 

3. 해결책을 제시해줘도 고마워하지 않는다

이들은 상황을 타개할 해결책을 얻고자 고민을 털어놓는 게 아닙니다. 그냥 자신의 말을 누군가가 들어주기를 바랍니다. 고민을 열심히 들어준 사람이 해결 방법을 제시해줘도 실천할 생각조차 하지 않습니다.

 

해결책뿐만 아니라 위로를 건네도 고마워하지 않으며 자신의 힘든 감정에서 좀처럼 빠져나올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4. 정작 남의 고민에는 관심이 없다

이들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자신의 고민을 말할 줄만 알고 들어주는 법은 모른다는 점입니다.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힘든 처지에 놓여있다고 생각해서 남들의 고충에 대해서는 쉽게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민 상담을 해준 친구가 자신의 고민도 얘기하려 하면 관심 없는 티를 내며 자기 할 말만 하면서 냉랭하게 대합니다.

5. 재미있거나 기쁜 일은 나누려 하지 않는다

살아가면서 행복하고 즐거운 일도 있는데 이들은 슬프고 힘든 일만 나에게 이야기하고 행복한 소식은 공유하지 않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다 빼앗기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늘 부정적인 얘기만 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점차 멀어져 소원한 사이가 되기 쉽습니다.

 

감정쓰레기통-부정적대화-스트레스-일방통행
스트레스

 

 감정 쓰레기통에서 벗어나려면

1. 물리적인 거리두기

 

물리적인 거리가 멀어질수록 부정적인 감정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상대가 나와의 대화를 감정의 배출구로 쓰려 한다면 내일 일정 때문에 일찍 들어가 봐야 해.”, “오늘은 컨디션이 안 좋아.” 등 핑계를 만들어서 일단 그 자리를 피해야 합니다.

 

또 당분간 만남의 횟수를 줄이거나, 가족일 경우 집에서 독립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감정쓰레기통-내감정-내욕구-돌아보기-심리샹태
나의 욕구가 중요

 

2.  나의 욕구를 먼저 돌아보기

현재 ‘나’의 심리 상태를 먼저 들여다보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내가 불편해하고 있지는 않은지, 벗어나고 싶은 건 아닌지 세심히 살펴봐 주는 게 좋습니다. 미안한 마음이 든다면, 상대도 자신의 욕구 해소를 위해 일방적인 대화를 반복하고 있다는 점을 떠올려 보세요.

3. 받아주는 척 가장하지 않기

불편함 감정을 표현하기 어렵다면 최소한 들어 주는 척이라도 하지 말아야 합니다. 적극적인 동조와 공감은 상대의 부적절한 행동을 부추길 뿐입니다. 화장실에 자주 가거나, 다른 화제를 꺼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자기 표현하기

무엇보다 확실한 방법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상대의 끊임없는 불평불만에 불편한 감정이 올라온다면, 주저하는 마음이 들더라도 할 수 있는 만큼 표현해 보는 게 좋습니다. 말하는 게 어렵다면 달갑지 않은 표정이나 시계를 자주 쳐다보는 행동으로도 드러낼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는 것이야말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입니다.

 

마무리

이번 포스팅은 많은 생각에 잠기게 합니다. 왜냐하면 내가 감정 쓰레기통이 될 수도 있지만 나 또한 다른 사람에게 내가 하고 싶은 말만 했던 것은 아닌가 되돌아보게 됩니다. 

 

가장 바람직한 인간관계는 서로 주고 받는 상호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때입니다. 건강한 인간관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