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의 개념
플랫폼[platform]은 원래는 기차역의 승강장이나 무대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산업계에서는 기초가 되는 틀 · 규격 · 표준을 의미하는데요. 자동차에서는 주요 장비들이 장착된 기본 골격을, 컴퓨터에선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운영체제(OS)를 가리킵니다. 최근 정보기술 업계에서는 서비스 · 콘텐츠 · 기기를 포괄하는 생태계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플랫폼이란 용어는 16세기에 생성된 이후 일상생활이나 예술, 비즈니스 분야에서 사용해왔다고 합니다. 그러던 플랫폼이 오늘날에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보편적인 개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컴퓨터와 관련해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기초를 이루는 컴퓨터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플랫폼이 탄생한 배경
최근 들어 정보 통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수많은 기업들이 과거의 방식으로는 살아남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등이 자신들만이 가진 장점인 플랫폼을 통해 각자의 영역에서 절대 강자로 부상하면서 비즈니스 업계에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플랫폼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제부터 플랫폼이 급성장한 원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선도 ICT기업들이 플랫폼을 통해 수익을 확대하거나 거대기업으로 급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 ICT 기업의 혁명적 진화에 힘입어 플랫폼 구축과 활용이 용이해진 것이 두 번째 이유입니다.
3) 글로벌 경제의 심화와 고객의 다양한 니즈 생성, 기술 혁신의 가속화등으로 제품 수명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비용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다품종 소량 생산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4) 여러 학문과 산업 영역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융복합화가 가능해지면서 이종 산업 간 결합이 플랫폼을 통해 일어나고 활성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플랫폼의 역할
▶ 플랫폼은 교통수단과 승객을 만나게 해주는 승강장으로써의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수익을 창출하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승강장엔 별도의 마케팅을 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몰려듭니다. 승객이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승강장엔 많은 사람들이 오고 가고 하는 물류의 중심이 됩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무수히 많은 가치 교환이 일어나고 거래가 발생하는데 바로 플랫폼의 역할인 것입니다.
▶덧붙인다면 플랫폼은 공급자와 수요자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입니다.
플랫폼 참여자들의 연결과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하며 모두에게 새로운 가치와 혜택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상생의 생태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에서도 글로벌을 선도해야 한다는 취지로 디지털 플랫폼 육성을 위해 정부의 과감한 플랫폼 진흥책이 필요하다는 의견 제시가 오늘 밤에 발표되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이 기초 플랫폼을 대거 장악하고 있기에 우리나라도 기술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